티스토리 뷰
요즘처럼 요금이 빠듯하게 느껴지는 시기에는 생활비 하나하나가 더 크게 다가옵니다. 전기세 수도세 관리비까지 빠짐없이 챙겨내기도 벅찬데 생각지도 못한 항목이 나올 때마다 마음 한켠이 무거워지죠. 그중에서도 tv수신료처럼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요금은 언제 왜 나가는지도 잘 모르겠고 제대로 알고 내는 건지도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분명 예전에는 신경도 안 썼던 항목인데 요즘 들어 괜히 더 눈에 밟히는 느낌입니다.
특히 텔레비전을 거의 보지 않거나 아예 보지 않는 분들도 계시다 보니 이 요금이 왜 매달 빠져나가는지 궁금해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냥 지나치기엔 매달 빠져나가는 금액이 결코 작지 않아서 괜히 찝찝한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게다가 그 항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설명되지 않아서 더 답답해지곤 합니다. 지금부터 그런 답답한 마음을 조금은 풀 수 있도록 천천히 이야기해보겠습니다.
tv수신료 안내는 방법 거부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전기요금 고지서에 tv수신료가 함께 청구되기 때문에 따로 챙기지 않아도 자동으로 납부되고 있는데요 이 항목을 자세히 보려면 한국전력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요금 내역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안내를 받는 방식은 종이 고지서, 이메일, 문자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원하시는 방식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tv수신료 안내는 방법은 kbs 사이트에서 간단하게 해지를 하실 수 있어요.
1. 공식 메인화면을 보시면 오른쪽 위에 여러 메뉴가 보이는데요. 그중에서 '수신료'라고 적힌 부분을 찾아서 들어가 주시면 시작할 수 있습니다. 찾기 어렵지 않아요.
2. 수신료 페이지에서 해지 관련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bs 수신료 사업지사 연락처도 안내가 되어있으며 스크롤을 천천히 아래쪽으로 내려보세요.
3. 그러다 보면 '수신료 1:1 문의'라는 문구가 보이고 그 밑에 '기타 수신료 민원'으로 넘어가는 안내가 있습니다. 바로가기를 선택해주세요.
4. 민원을 진행하려면 먼저 KBS 홈페이지에 회원으로 등록돼 있어야 해요. 회원가입을 먼저 하고 로그인까지 완료하면 수신료 해지 신청이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5. 아파트에 사시는 경우에는 별도 절차가 필요할 수 있어요. 화면에 보이는 '수신료 관련 1:1 민원 신청' 항목을 찾으신 후 '아파트 수신료 별도 납부 신청/해지'라고 쓰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다음 단계를 이어서 진행할 수 있어요.
6. 화면에 안내된 글을 먼저 읽어보시고 하단에 있는 확인을 선택합니다. 이후 로그인하시면 수신료 해지 신청을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게 끝낼 수 있습니다.